성남 쓰레기소각장 재건립 “반대”

환경운동연합 “내구연한 경과 경제적·친환경적 효율성 없어… 시설보수 사용 바람직”

성남시가 내구연한이 끝난 쓰레기소각장을 다른 방식으로 재건립하려 하자 환경단체가 경제성과 환경성을 들어 반대하고 나섰다.

 

1일 성남시와 성남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성남 쓰레기소각장은 1998년 10월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1동에 건립된 1일 처리 규모 600t 규모의 수도권 최대 규모 소각시설로, 사용가능 연한 12년이 경과해 수명이 끝났다. 이에 시는 해당 시설을 폐기한 뒤 수집된 쓰레기를 직접 태우는 현재의 스토카 방식이 아닌 쓰레기를 기계적으로 분리·선별해 폐기물의 50% 이상을 고형연료(RDF)로 만드는 전처리시설(MBT)과 이 연료를 태우는 발전소를 건립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성남환경운동연합은 “성남시 여건상 MBT와 RDF발전시설이 결합한 방식은 경제·친환경적인 면에서 효율성이 없다”며 소각 방식의 기존 시설을 보수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이 같은 주장의 근거로 2010년 국회예산처의 폐자원에너지화 사업평가 보고서를 들었다.

 

보고서에는 1일 처리량이 100t 미만인 경우 RDF시설이 경제성이 있으나, 대도시 등 폐기물 발생량이 많고 소각여열 회수·이용이 용이한 지역은 소각시설이 경제적이라고 기록돼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RDF시설은 스토카시설에 비해 제조공정과 운반과정에서 별도로 연료를 소모하므로 대기오염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고, 일산화탄소 기준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친환경시설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성남환경운동연합 김현정 팀장은 “성남시가 추진하려는 성남쓰레기 소각장 재건립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기존 스토카 처리방식 소각장의 노후된 시설을 보수하는 방안등을 검토하고 시민들과 함께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충분한 검토를 거쳐 진행 중인 사업으로, 환경단체들의 우려를 사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성남쓰레기 소각장은 한국지역난방공사가 1천억원 짜리 발전소를 짓고 성남시는 700억원 가량이 들어가는 전처리시설을 건립해 여기에서 생산한 고형연료를 발전소에 넘겨주는 방식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