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구에 날아든 황새·노랑부리저어새

‘월동개체’ 최대 개체수 확인… 백령도 물범도 182개체 발견

한강하구 습지에서 월동하는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 황새와 노랑부리저어새 등이 확인됐다.

 

한강유역환경청은 20일 관내 동·식물상 우수지역 및 철새도래지 총 16개 지역에 대해 2011년 생태계 변화관찰(지난해 4월~지난 2월)을 실시한 결과 김포시 한강하구 습지에서 월동하는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 황새와 노랑부리저어새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황새는 철새 이동시기인 지난해 3월 파주시 공릉천 하구 습지에서 1개체가 잠시 관찰 된 적은 있지만, 월동개체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황새는 국제자연보호연맹의 적색목록에 등록돼 있는 세계적 멸종위기종으로 전세계에 약 660마리 정도만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도 환경부 멸종위기종 1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또 PGA습지생태연구소와 함께 진행한 한강하구 생태계 변화관찰을 통해 산남습지에서 월동하는 노랑부리저어새 11개체도 관찰됐다.

 

이는 확인된 월동개체로는 최대 개체수다.

 

노랑부리저어새는 강화도 남단갯벌과 시화호 등 철새도래지 8개 지역에서도 발견됐으며, 대체로 전년도에 비해 관찰종수는 늘었으나 개체수는 다소 감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백령도 동쪽 해안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물범 실태 조사에서는 물범바위 및 하늬바다, 연봉바위 등지에서 지난 2004년 조사 이후 가장 많은 개체인 182개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강청 관계자는 “올해도 다음달부터 남양주 백봉산을 비롯, 관내 우수 생태지역에 대한 생태계 모니터링을 확대 실시해 효과적인 야생동·식물 보전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멸종위기종 보호사업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