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발효 D-1 ‘희비교차’
한·미FTA 발효를 이틀 앞둔 13일 경기지역 농민들은 FTA를 ‘농업에 대한 사형선고’라고 표현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농축산업 생산액은 한·미FTA 발효 후 15년간 12조2천252억원, 연평균 8천15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에도 정부의 대책은 미흡해 농업 말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평택에서 한우와 육우를 사육하고 있는 이모씨(62)는 “사료값은 1년 전보다 두배 이상 뛰고 소값은 폭락해 하루하루 피가 마르는데 한·미FTA까지 발효된다고 하니 정말 눈앞이 깜깜하다”며 “농민의 목소리에 귀를 닫은 농림수산식품부와 청와대에 배신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농민단체들도 다음달 총선과 연말 대선에서 낙선 운동도 불사하겠다며 발효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날 한국농업경영인(한농연)중앙연합회와 농수축산연합회는 외교통상부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농업인의 의견수렴을 통한 피해대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한·미FTA 재검토와 피해대책에 대한 검증도 없이 졸속으로 발효를 공식화한 정부에 끓어오르는 분노를 참을 수 없다”며 “이같은 농업말살정책을 지속한다면 짓밟힌 농심의 생존을 위한 결사의지로 총선과 대선을 통해 반드시 심판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관계자는 “한·미FTA는 농산물 전 품목에 대한 전면개방협상”이라며 “농업피해보전대책도 대부분 기존사업과 중복되고 독소조항에 의해 언제든지 중단될 수 있는 아무것도 없는 빈쭉정이 대책”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4월 총선에서 새누리당에 대한 낙선운동 벌여나감과 동시에 한·미FTA폐기를 위한 다양한 행동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