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발효 D-1 ‘희비교차’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 이 15일 발효되는 가운데 도내 자동차부품 업체 등 중소기업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3일 도내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중공업 분야 등 수출 중소기업들은 판로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국외수출 상위 5개 품목은 집적회로 반도체, 합성수지, 자동차부품, 선박, 플라스틱제품 등으로 이들 제품의 판매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승용차 관세는 두 단계를 거쳐 철폐된다. 2015년까지는 2.5%의 미국측 수입관세는 유지되고 8%의 한국측 수입관세는 4%로 줄어든다. 이어 2016년부터는 양측 전 차종에 대한 수입 관세가 없어진다.
현대기아차 등 국내 완성차업계는 협정이 발효되면 통상 마찰이 줄고 한국차에 대한 미국에서의 인지도가 높아져 판매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특히 2016년에 미국 수입 관세가 없어지면 판매가를 낮출 수 있어 미국으로의 수출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발효와 함께 없어진다. 현재 2.5~4%의 미국측 관세와 최대 8%인 한국측 관세가 바로 없어지면 국내 부품업체들의 대미 수출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도내 자동차부품업체 한 관계자는 “한·미FTA는 미국시장에서 판로를 확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한·미FTA를 잘 활용하기 위한 방안 등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기업계를 대변하는 중소기업중앙회는 자동차 부품, 섬유, 전기·전자 등의 중소기업들이 FTA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