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들 너도나도 “혁신학교 지정을”

입주민들, 지역여건도 고려않고 요구 속출… 도교육청 ‘골머리’

경기지역 신도시에 학교가 잇따라 들어서면서 입주를 앞둔 예정자들과 입주자들 사이에서 신도시내 학교를 혁신학교로 지정해달라는 민원이 속출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혁신학교의 기본여건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터무니없는 요구를 하고 있어 인가를 담당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13일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일선 학교의 창의지성 교육을 통한 질적 발전을 위해 2009년 하반기부터 혁신학교 지정을 추진, 현재까지 123개교를 지정했으며 혁신학교 운영가능성이 있는 49개교를 예비로 지정해 운영 중이다.

 

도교육청은 올해 150억원의 예산을 편성, 지정된 학교에 연 평균 1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150개 학교로 지정을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신도시 내에 조성되는 신설학교 인근 입주자들이 학교가 정상적인 체제를 갖추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터무니없이 신설학교 지정을 요구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수원 권선구 호매실택지지구의 입주자들은 이달초 개교한 호매실고등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 등이 구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학교를 혁신학교로 지정해달라며 올 초부터 수차례 민원을 제기했다.

 

또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에서 광교 에듀타운으로 이전이 추진되고 있는 신풍초등학교의 경우에도 광교입주자들은 “교육특구 신도시 조성을 위해 혁신학교 지정이 필수적”이라며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들어선 40여개 초·중·고 지역의 민원도 잇따랐다.

 

이 같은 상황에 내년 경기지역 신도시 등에 34개 학교가 들어설 예정이어서 이와 같은 민원도 계속될 전망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혁신학교 지정을 위해서는 학교구성과 혁신교육계획 수립이 필요하지만 지역특수만을 생각해 민원을 제기하는 일이 많다”고 말했다.

 

오영탁기자 yt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