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산물서 세슘 검출 늘어… 원산지 표시도 불명확 소비자들 불안
올 들어 일본에서 수입된 수산물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먹거리 불안이 커지고 있다.
특히 원산지 표기에 취약한 수산물의 특성상 지자체와 정부에서 원산지 단속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일본산 수산물의 유통을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는 지난 1월부터 지난 2일까지 두 달간 일본산 수산물에서 방사성 물질인 세슘이 검출된 사례는 총 32건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4월부터 연말까지의 검출 건수 21건보다 52.4% 많은 수준이며 중량 기준으로는 지난해의 6배인 881.3t에 달한다.
종류별로는 냉동 고등어가 750.8t으로 가장 많았고 냉장 명태가 124.4t으로 뒤를 이었다. 이 같은 방사성 물질 검출 증가는 지난해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 바다에 유출된 방사성 물질의 양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부는 세슘 검출량이 인체에 해를 끼칠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안전성이 검증되기 전까지는 유통이나 수입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도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원전사고 이후 일본산 수산물 판매를 잠정 중단하고 있는 대형마트와 달리 소매점이나 시장, 일반 식당은 원산지 표기가 명확하지 않은 채 일본산 수산물이 유통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원 장안구에서 생태찌개 식당을 운영하는 한 식당 주인은 “그날 그날 공급물량에 따라 일본산과 알래스카산을 번갈아 가며 쓰고 있다”며 “원전사고 직후에는 손님이 뚝 끊겼지만 최근들어 늘고 있고 원산지를 묻는 손님도 줄었다”고 말했다.
안양에 거주하는 주부 H씨(37)는 “솔직히 원산지 표시도 못 믿겠다. 아이 학교 급식에서도 생선이 나오는데 안심하고 먹여도 되는지 불안하다”며 “검출량이 적다고 해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어떤 영향이 있을지도 모르는데 수입을 막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 관계자는 “일본산 수산물을 국산이나 다른 나라에서 수입된 것으로 둔갑시키는 경우가 일부 있을 것”이라며 “다음달부터 일반식당에서도 수산물 원산지 표기가 의무화되는 만큼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