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최근 엔저 원인과 전망’ 보고서 “불안정한 국내경기 따른 단기조정으로 볼 수있어”
현대경제연구원은 일시적인 엔화 변동성 확대에 대한 대응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1일 현대경제연구원 현안과 과제 ‘최근 엔저 원인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엔저 현상이 불안정한 국내 경기 영향으로 인한 단기 조정으로 볼 수 있어 일시적인 엔화 변동성 확대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엔·달러 환율은 지난 14일 상승세로 전환한 이후 오름세를 이어가며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 만에 80엔대를 회복했다.
연구원은 일본은행의 실질적인 제로금리 정책과 금융자산 구입 등의 추가 양적완화 실시가 공식발표되면서 엔·달러 환율이 상승세로 전환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안정화되면서 달러인덱스가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엔·달러 환율만 상승하고 있다며 최근 엔화 약세가 미국 달러에 대한 단기 조정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2분기 이후 일본의 경기 회복세가 가시화되면 엔·달러 환율이 다시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연구원 이부형 연구위원은 “국제 금융시장 모니터링 강화, 안정적인 엔화 자금 운용, 글로벌 마케팅 강화 등을 통해 일시적인 엔화 약세에 대비해야 한다”며 “중장기 엔고 전망을 활용해 일본 투자 유치 및 일본 관광객 유입을 위한 환경 정비, 현지 마케팅 강화 등을 통한 일본 내수시장 공략 등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