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교육청서 왕따해결 ‘또래중조’ 등 벤치마킹
경기도교육청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각종 혁신교육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14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지난 2009년부터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 자기주도적 학습활동, 교사와 학생·학부모 간 소통 등에 무게를 둔 혁신학교를 운영해 현재 123개교로 확대 시행 중이다.
이는 서울과 광주, 전남, 전북, 강원교육청에서 벤치마킹해 운영하고 있다.
또 지난 2010년 10월 도교육청이 처음 제정한 학생인권조례도 광주교육청과 서울교육청이 유사 조례를 제정했으며, 전남교육청과 전북교육청 등도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도교육청의 ‘학업중단숙려제도’와 ‘또래중조 프로그램’, ‘무상급식’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5월 도교육청이 도입한 학업중단숙려제도는 지난해 10월 정부가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상태이며, ‘왕따’ 등 학생 간 문제를 또래 학생이 해결하는 ‘또래중조(仲調) 프로그램’은 ‘또래중재’라는 이름으로 교과부의 학교폭력근절 대책에 포함됐다.
무상급식의 경우 이미 전국적으로 확산된 상태다.
이밖에 창의서술형평가, 공문 없는 날 등 교원 행정업무 경감 대책, 과학원리의 기반 위에 기술과 예술 등의 영역을 융합해 교육하는 미래형 과학교육 ‘STEAM’ 등도 타 시·도교육청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오영탁기자 yt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