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96만명으로 전년比 3.4% 10만3천명 줄어 2001년 400만명 붕괴후 10년만에 100만명 감소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감소한 농민 숫자가 지난해 300만명 선 밑으로 처음 떨어졌다.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농가인구는 296만5천명으로 전년보다 10만3천명(3.4%)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
2001년 400만명 선이 붕괴한 이후 10년만에 100만명가량 줄어든 것이다.
농가인구는 1970년 1천442만2천명에서 1980 년 1천82만7천명, 1990년 666만1천명, 2000년 40 3만1천명, 2010년 306만8천명으로 해마다 급감했다. 농촌이 급격한 해체과정을 밟고 있는 것이다. 농가인구 감소는 젊은층의 도시 이동으로 농촌 출생률이 줄어든 결과다.
농가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작년에 36.2%로 전년보다 1.3%p 상승했다. 농업소득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면 농가인구 감소세는 지속할 것으로 관측된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 농업소득이 가구당 1천103만원으로 작년보다 6.8% 하락한 뒤 2017년 1천만원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농가인구는 289만3천명으로 작년보다 7만2천명(2.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총 인구 중 농가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5.9%로 0.2 %p 떨어져 6%를 밑돌 것으로 관측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