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들인 연구자료 외국에 유출될 뻔했는데… 대학측 “큰 일 아니다” 시큰둥

“조사결과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니 출국하지 않았겠습니까? 이번 일에 큰 의미는 두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3일 안산지역 A대학에서 석사과정을 밟던 한 외국 유학생이 연구실험실 내부에서만 공유하도록 한 자료 중 일부를 개인용 하드디스크에 복사했다가 발각(본보 26일자 5면)됐지만, 학교 측은 별 일 아니라는 반응으로 일관, 비난을 사고 있다.

 

현재 국내 대학들은 우수한 연구인력을 통해 차세대 첨단기술을 연구·개발,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는 등 산·학·연이 연계된 연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안산시에서 발생한 사건에서 보듯이 대학 내 외국인 연구원에 대한 인적 보안이 허술한 것은 물론, 연구실 보안에 대한 인식도 부족해 중요 연구자료와 기술의 해외 유출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기업들은 최근 기술이 해외로 유출되는 사건이 빈번해지자 보안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해 첨단 보안시스템을 갖추는 등 지적재산권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 연구소 등 연구기관의 보안의식은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 국내 대학들은 국제화라는 트랜드에 따라 과거 소수 선진 국가에 집중됐던 유학생 유치를 유럽과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등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 이들 외국인 유학생이 중요한 연구 개발 등에 연구원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대학 연구원 보안 의식 결여 자료·기술 유출 가능성 커

최근 유학생 연구 참여 늘어 지식재산 보호시스템 절실

더욱이 연구성과가 특허권 취득과 기술 이전이 이뤄지기 전에 대학원생들의 논문을 통해 발표되는 경우까지 있어 각 대학에서의 연구활동과 지식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보안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실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국가 연구개발비로 16조원에 달하는 예산을 전국 160여개 대학을 비롯한 산·학·관에 지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연구비를 지원받아 중요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만큼 대학은 물론, 관계부처에서도 국민들의 혈세가 들어간 연구가 다른 국가에 유출되는 일이 없도록 연구자료와 같은 지식재산 유출 사고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