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담당관 하고파… 과거까지 속였나?

도교육청 감사담당관 ‘보좌관 경력’ 급조 논란

의원실 출근 안해… 당시 부산서 거주 감사관 “출퇴근 필요없는 정무보좌관”

개방형으로 채용된 경기도교육청 고위공무원간 갈등이 겉잡을 수 없이 확산(본보 16일자 5면)되고 있는 가운데 갈등 당사자인 감사담당관이 공모에 응하기 위해 공직 경력을 급조했다는 의혹이 제기, 허위경력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도교육청은 감사담당관 채용을 위해 3차례나 공모를 벌이면서 이미 부적격자로 판명된 현 감사관이 급조된 공직경력을 추가하자 채용하는 등 짜맞추기식 공모를 벌였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1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지난해 1월 5일부터 6일간 3급 상당 개방형 직위인 감사담당관을 선발하기 위해 원서를 접수, 도교육청 인사위원회가 추천한 임용후보자 3명에 대해 서류 및 면접심사를 거쳐 2월 11일 현 감사담당관을 선발했다.

 

하지만 도교육청의 1차 공모 당시 현 감사담당관은 에너지관리공단의 감사 경력이 최소 기준인 3년에 4개월이 모자라 탈락한 바 있으며, 2차 공모에서는 전 문정수 국회의원실 보좌관 경력을 추가했지만 감사원의 유권해석 의뢰 결과, 현직 공무원이 아니라는 이유로 부적격 통보를 받았다.

 

더욱이 도교육청은 1차 공모에서 감사담당관이 탈락하자 2차 공모에서는 자격요건을 국회의원 보좌관 경력도 가능하게 변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현 감사담당관은 지난 2010년 11월 25일부터 B국회의원실 보좌관으로 근무하고 있다는 경력증명서를 제출, 3차례 응시 끝에 채용됐다.

 

그러나 감사담당관이 도교육청 공모를 위해 B의원 보좌관 경력을 급조, 실제 보좌관실에 출근하지 않았으며 근무 당시 B의원의 지역구인 경기지역이 아닌 자신의 고향인 부산에 거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교육청 한 직원은 “경기지역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B의원이 부산에 살고 있는 감사담당관을 보좌관으로 둘 필요가 있냐”면서 “도교육청은 감사관을 뽑기 위해 3차례나 기다렸고 경력내용도 바꿨으며 감사관은 경력을 짜맞췄다. 이게 무슨 공모냐”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감사담당관은 “거주지는 부산으로 돼 있었지만 꼭 출근이 필요한 직책이 아닌 정무보좌관 이었기 때문에 왔다갔다 했다”면서 “현직 공무원 경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경력을 제출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B의원실 선임 보좌관은 “감사담당관은 2010년 B의원의 전대출마에서 멘토 역할 뿐만 아니라 정치적 판단, 정세분석 등을 주로 담당하는 정무보좌관직을 맡았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의원 정무보좌관은 의원의 지역구에서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정계에선 전대출마를 위해 특정지역 인사를 정무보좌관을 채용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게 대체적인 반응이다.

 

박수철·오영탁기자 yt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