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 새마을운동 모태 ‘가나안농군학교’ 58년만에 하남 떠나 양평으로

미사보금자리 지정… 역사공원으로 조성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모태가 됐던 하남시 가나안농군학교가 미사보금자리지구 지정으로 58년만에 하남을 떠난다.

 

15일 하남시와 가나안농군학교에 따르면 하남시 풍산동 168의 3 일대에 자리 잡은 가나안농군학교는 지난 1954년 11월 가나안농장에서 출발, 1962년 2월 가나안농군학교로 개교한 뒤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근검·절약 정신을 가르치는 지역 공동체 운동을 폈다.

 

이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모태가 됐으며, 개교 이후 현재까지 농민과 상인, 교육인, 의료인, 정치인, 군인, 연예인 등 70여만명이 이 학교에서 인본주의와 개척정신 등의 교육(1천825회·3박4일 이상의 특별교육)을 받았다.

 

그러나 정부가 지난 2009년 6 월 하남시 망월동 일원 546만3천㎡를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하면서 이 학교 역시 토지수용 대상에 포함돼 이전 및 철거가 불가피하게 됐다.

 

이에 따라 가나안농군학교는 양평군 지평면에 새 터전을 마련할 계획이며, 시와 LH는 학교가 지닌 역사성을 반영해 본관건물과 교회를 포함한 6천501㎡를 역사공원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가나안농군학교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민족 계몽운동 및 새마을운동 등 역사적 흔적을 간직하고 있어 국민들의 현대사 교육장소로 활용가치 높기 때문이다.

 

김평일 가나안농군학교 교장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평생 대를 이어 이 땅에 개척정신을 불어 넣는데 매진해 왔다”며 “양평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학교를 지을 자금이 부족해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