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 취업자’ 고용 형태 열악

“연령·직종 등 다양한 특성 반영 차별정책 필요”

60세 이상 ‘실버 취업자’의 임금, 연금, 일자리 등 고용 형태가 심각할 정도로 열악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70~79세 취업자의 실질임금이 해마다 급감해 평균 급여가 57만원에 그쳐 단순노무자 등 취약계층이 근로 기회를 잃어버리면 빈곤층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김민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7일 경제주평 ‘실버 취업자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실버 취업자들은 연령대와 직종에 따라 일하는 목적과 임금 수준 등이 많은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정부는 고령 취업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는 60~79세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 올해 기준으로 전체 취업자 중 실버 취업자의 비중이 12.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버 취업자의 연금수령 비중은 지난 2008년 40.4%에서 2011년 64.7%로 늘었으며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1인 가구 최저생계비에도 못미치는 30만원에 불과했다.

 

또 고령 취업자 중 20%가 취약계층으로 단순 노무직의 경우 10만원 이하의 연금을 받거나 연금 혜택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70~79세 취업자의 임금 수준은 57만원으로 60~69세 취업자의 평균 월급 130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실질임금 증가율이 지난 2008년 -5.2%, 2009년 -9.7%, 2010년 -5.5%, 2011년 -7.7%로 마이너스를 지속했다. 그러나 실버 취업자가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비중은 2008년 83%에서 2011년 87.4%로 증가하고 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