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도심지역 근무 기피… 6급이하 정원대비 현원 확보율 ‘극과 극’
경기도내 교육행정직 공무원 중 80%이상을 차지하는 6급이하 공무원들의 도심 선호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도교육청 본청과 직속기관, 25개 지역교육청 별로 6·7급 지방공무원들의 도심지역과 비도심지역 정원대비 현원 확보율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6급 공무원의 경우 수원과 안양과천·광명·안산·평택·군포의왕·화성오산·광주하남·용인·안성·김포·시흥 등 도심지역 지역교육청에서는 정원 대비 현원 100%의 확보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성남·부천 등 도심지역교육지원청도 100%에 가까웠다.
반면 구리·남양주·연천·포천·가평은 정원보다 25%의 현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7급 공무원의 경우 지역별 편차가 더 심각했다.
도교육청 본청과 2청, 특수학교를 포함한 고등학교, 직속기관은 7급 공무원 90~130%의 현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수원과 성남·안양과천·부천·광명·고양 등 도심지역 6개 교육지원청은 115~140%로 기준보다 훨씬 많은 공무원이 배치돼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파주·연천·포천·가평·동두천양주·양평 등 11개 비도심지역 교육지원청에서는 25~50%의 현원을 확보하고 있어 큰 인력부족 현상을 보이고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6급 이하 비도심지역(3·4급지) 근무경력자에게 승진 시 우대하는 도서·벽지교육진흥법도 지역공무원들의 도심지역 선호 문제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 좀 더 현실적인 대안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재삼 교육의원은 “6급 이하 공무원들이 출·퇴근시간 대비 학군 등의 여러문제 때문에 비도심지역 근무를 꺼리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더 심각해질 수 있는 도심지역 선호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산점 부여를 구체화하거나 확대하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도교육청 관계자는 “비도심지역 근무자에 대한 우대방안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균형에 맞는 인사반영을 위해 가산점 부여 방안 등을 다각도로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오영탁기자 yt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