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 세계최초 광자결정 개발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학부 물리학전공 하나영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여러 색의 빛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광자결정을 개발했다.

 

‘다중 광밴드갭 솔젤 박막’이라는 이 광자결정은 광밴드갭이 여러개 존재하도록 설계된 하나의 유리 필름으로 한 가지 색의 빛만 제어할 수 있었던 기존의 광자결정에서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구현하는 발전된 형태다.

 

광자결정이란 빛을 제어하는 광소자 또는 기기들의 핵심부품으로 빛의 반도체라 불리며 특정 색의 빛만 내게 하는 광밴드갭이라는 광학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교수팀은 이 광자결정 개발을 통해 빛을 이용하는 표시장치들의 제작비용을 크게 줄이고, 액정 레이저, 반사형 액정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태양전지, 레이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나영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다중 광밴드갭 솔젤 박막은 여러 색의 빛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용 광소자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오영탁기자yt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