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조합, 매달 2천만원씩 챙겨… 市 “관리·감독 강화”
인천시의 대표 브랜드 콜택시 ‘인천콜’이 400여대를 무단 증차해 운영한 사실이 드러났다.
20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인천시 택시운송사업조합(택시조합) 및 KT와 공동으로 법인택시 2천500대와 여성운전자회 소속 택시 100대 등 모두 2천600대의 브랜드 콜택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해 시는 택시 1대당 매달 3만8천원씩 지원해 2009년 3억8천만원, 지난해 11억8천500만원을 각각 지원했으며, 올해도 11억8천500만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그러나 KT와 조합 측이 애초 허가받은 택시 2천600대 외에 개인택시 403대를 브랜드 콜택시로 무단 증차해 운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KT와 조합 측은 개인택시 기사로부터 매달 4만8천원을 받고 콜택시를 운영하도록 해 1년여간 매달 2천여만원씩을 챙긴 것으로 밝혀졌다.
정수영 시의원(민노·남구 4)은 “시가 대시민 서비스 차원에서 공익 정책으로 브랜드 콜택시 사업을 추진해 운영비를 지원해줬지만, KT와 조합 측은 개인택시 기사들에게 돈을 받아 챙기며 돈벌이를 해왔다”면서 “이는 시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특히 시 담당부서는 이 같은 사실을 지난 18일 시의회의 건설교통국을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 때까지 전혀 알지 못해 시의 관리·감독이 허술했다는 지적이다.
정 의원은 “시가 KT와 조합에 사업비만 지원해줬지 관리·감독엔 손을 놓은 결과”라며 “콜택시에 단순히 돈을 지원해주는 정책이 아닌, 전체적으로 콜을 활성화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영규 시 건설교통국장은 “앞으로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고 수요가 느는 콜택시와 관련한 제도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