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문화바우처 사업 ‘관리주체 통합해야’

문광부·인천문화재단으로 이원화… 프로그램 운영 등 차질

관리주체가 이원화돼 있는 인천지역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과 문화바우처 사업 등을 통합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7일 인천문화재단에 따르면 올해 11억 5천528만 원을 들여 지역 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수업시간에 문화예술교육을 하는 통합교과형 프로그램과 방과 후 문화예술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수혜학교 및 교육분야, 예술강사 선정 등이 모두 문화관광부 주관으로 이뤄지고 프로그램 운영만 인천문화재단이 맡는 등 관리주체가 이원화돼 있다.

 

이로 인해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수요나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하기 어려운 부작용이 초래되고, 장애인학교나 구 도심권 학교 등은 소외되는 때도 있다.

 

특히 1년 교육이 끝나고서 수혜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등을 실시해 프로그램에 의견을 반영·개선하는 것조차 어렵다.

 

또 중앙정부가 교육프로그램을 3월이 돼야 확정되는 것도 애로사항이다.

 

인천은 구비로 25%를 지원받고 있지만, 미리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고, 늦으면 9~10월께 추경에 반영되기 때문에 교육비 지급 등 프로그램 운영에 차질을 빚는 경우가 많다.

 

문화바우처 사업에 대한 통합관리 필요성도 대두됐다.

 

현재 인천지역 문화바우처 카드를 발급받은 가구는 수혜대상 2만 2천177가구 가운데 9월 기준으로 7천891가구(35.6%)에 그치고 있다.

 

지원예산 11억 900만 원 중 집행된 것은 12%에 불과할 정도로 낮은 수준이다.

 

이처럼 실적이 저조한 원인은 카드발급은 인천시가 담당하고, 문화바우처 운영은 인천문화재단이 하다 보니 홍보, 기획, 마케팅 등을 통합관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인천문화재단 관계자는 “지역 특성에 맞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있다”며 “인천시와 머리를 맞대고 문화바우처 사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