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업, 온고지신을 떠올리다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도입은 과거 농업혁명에 견줄만한 혁신이다”

 

얼마 전 디지털 포럼에서 회자됐던 말이다. 무제한 요금제로 인해 모바일 빅뱅이 가능했음을 강조한 말이지만, 과거의 농업 혁신에 대해 다시 한번 일깨워 주는 말이기도 하다. 고도성장 과정에서 한국은 유례없이 빠른 산업구조의 전환을 겪었지만 적응도 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어 오히려 예전의 농업혁명이 그립다.

 

우리나라는 전통 시대에 아름다운 금수강산과 역사 대대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 속에서 농업을 영위하면서 진정한 삶의 의미를 찾았다. 하지만 현대에는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농업은 과거의 산업이 되 버린 듯해 안쓰럽다. 그동안 우리는 5천년의 농업의 역사 속에서 식량을 자급하지 못하고 보릿고개 등 배고픔의 시련이 반복됐었다. 하지만 불과 30여년전인 1970년대 초 통일벼 보급에 의한 주곡의 자급 달성으로 녹색혁명이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연이어 1980년대부터 비닐농업에 의한 계절 없는 농사를 짓게 되어 백색혁명이라는 또 하나의 월계관을 쓰게 된 것이다. 다만 농업이 과거에는 식량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안전한 식품의 공급과 농촌 지역사회의 유지, 국토 및 환경의 보전, 전통 및 문화의 계승 등 농업의 역할이 더 많아지고 있다. 또한 생활공간, 레저와 휴식 공간, 문화와 교육 등 농촌의 가치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농촌의 규모는 작지만, 영역은 더 커지는 구조가 된 것이다.

 

이처럼 농업은 인간이 필요로 하는 가장 기본적인 먹을거리와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산업이다. 하지만 현실은 농부의 사회적 지위가 낮은 상태에 머물고 있다. 장래희망에 농부라고 적는 학생들이 많이 없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현재의 추세가 계속된다면 다음 세대에 이르러서는 소규모 농업 종사자는 완전히 소멸될 거라는 전망이다. 그래서 우리가 지금 시급히 해야 할 일은 농부의 권위를 복원시키고 농촌을 도시와의 경쟁에서 끌어 올려야 한다.

 

이럴 때일수록 과거 농업의 기본을 철저히 돌아보는 것이 해답이 될 수 있다. 옛말에 ‘온고지신’이라는 말이 있는데 옛 것을 익혀 새로운 것을 안다는 뜻이다. 여기서 옛 것을 돌아 본다 함은 고루한 과거로 복고하자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살펴보면서 더 좋은 방안을 찾자는 것이다.

 

농사꾼은 봄이 오면 어김없이 논밭을 갈아 씨를 뿌리고, 여름철에는 잡초를 뽑고 비료를 주며, 병해충을 방제하여 가을에 수확한다. 농사는 일을 미루거나 벼락치기가 통하지 않는다. 세월이 아무리 흘러도 변함없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고 농사의 법칙이다. 더 중요한 것은 농사의 중심은 농부이며, 농부를 위한 인본주의, 휴머니즘의 정신이 성공의 바탕이다.

 

하지만 빠른 성장 속에서 유구한 농업의 중심을 상실하고, 이른바 산업화로 단장한 농업이 만들어진다면 정체성을 무너트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농촌을 돈으로 가득 차고 위기 산업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중심의 정신으로 사람살기 좋은 마을, 사람들이 와서 살아보고 싶은 농촌이 될 수 있도록 온고지신의 마인드로 바꿔야 할 것이다.

 

최근 10년 사이에 한식이 세계를 휘어잡고 있다. 이런 것들을 보면서 과거와 역사를 돌이켜 보는 것이 고루하고 뒤떨어진 과거로의 회귀라고 비하할 수는 없을 것이다. 어떻게 보면 우리 세대가 과거의 좋은 자원들을 맘껏 누리고 있는 것이다.

 

한국 농업은 지금 터닝 포인트에 서 있다. 최근 자유무역협정의 확대와 기상재해 증가 등 농업에 대한 위협요소가 증가하여 농업이 더욱 위축받고 있다. 이 상황에서 ‘온고지신’을 떠올리며 한국의 농업 역사를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농업이 과거와 현재를 통해 휴머니즘으로 가득 찬 미래 농업이 되길 기대한다.

 

이명철 농촌진흥청 연구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