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시장, “내년 2월부터 단계적 추진 계획” 밝혀
성남지역 15개 민간 청소용역업체가 ‘시민주주형 사회적기업’으로 전환된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10일 오후 성남시청 온누리실에서 열린 ‘2011 성남 살림의 경제한마당’ 개막식에 참석해 “성남지역 15개 민간 청소용역업체를 사회적기업 또는시민주주기업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내년 2월 10개 업체를 사회적기업으로 우선 전환하고 나머지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되면 성남지역 모든 청소노동자의 임금과 근무환경이 개선되고 일자리도보장받게 될 것이라고 시는 예상했다.
시는 이를 위해 문화체육복지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청소용역업체의 사회적기업 전환작업을 전담하기로 했다.
현재 2개 업체가 사회적기업 전환에 동의했으며 나머지 기업과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그동안 매년 민간 청소용역업체와 수의계약을 통해 계약을 연장해 왔다.
현재 성남에는 사회적기업 8곳, 예비사회적기업 17곳, 시민주주기업 3곳 등 협동사회경제기업 28곳에 543명이 종사하고 있다.
내년에 10개 청소용역업체가 사회적기업이나 시민주주기업으로 전환하면 협동사회경제기업 종사자는 38곳에 773명으로 늘어난다.
시민주주기업은 시민이 주주 또는 조합원으로 참여해 만든 상법상 회사 또는 민법상 조합이다.
주주 구성원 중 성남시민이면서 해당 업무에 실제 종사하는 사람의 비율이 70% 이상이어야 하며 이윤의 3분의 2 이상을 사회적 목적 또는 공익사업에 재투자해야 한다.
또 특정 한 사람의 지분이 20% 이하로 제한된다.
1년이 지나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지 못하면 대행계약이 중지된다.
시는 16개 업체가 맡고 있던 생활쓰레기 수집·운반 용역 가운데 1개 업체 부문을 지난 1월 시민주주기업인 ㈜나눔환경에 맡겨 주목을 받았다.
이밖에 가로청소용역 부문도 ㈜두레과 ㈜우리환경개발 등 시민주주기업 2곳에 위탁했다.
박상복 성남시 주민생활지원과장은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고 사회적 목적을 우선으로 추구하고 있어 근로자의 임금과 복지환경을 개선하고 시민의 일자리를 보장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시는 10~12일 시청사 안팎에서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공정무역 분야 관계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협동사회경제의 연대와 혁신’을 주제로 ‘2011 성남살림의 경제 한마당’(www.sncsec.org)을 연다.
10일에는 스페인 몬드라곤협동조합과 일본 생활클럽생협연합회의 강연이, 11일 ‘살림의 교육’ 기획포럼과 세미나가, 12일에는 시민장터와 벼룩시장이 이어진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