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재정문제로 2년간 인건비 동결 반발… 공무원 인상분 수준 요구
인천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2년간 인건비 동결에 반발하며 내년 급여를 공무원 인상분 수준으로 올려줄 것을 인천시에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지역아동센터의 사정은 더욱 심각해 지난해 정부평가 거부로 운영비가 50% 삭감, 사회복지사 2명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임금을 나눠 받고 있다.
사회복지사협회, 지역아동센터협의회 등 20여 개 단체가 참여한 ‘인천사회복지종사자권익위원회’(회장 조민호)는 8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년간 사회복지종사자 인건비는 시 재정 문제로 우선순위에 밀려나면서 운영비와 함께 동결됐다”며 “이 때문에 종사자들의 사기 저하는 물론 안정적인 사회복지시설 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초래됐다”고 주장했다.
권익위는 “시가 재정난과 정책 우선순위 등을 이유로 사회복지 종사자들에게 고통 분담을 강요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내년도 인건비를 공무원 임금 인상분 수준에 맞추고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할 것을 시에 촉구했다.
사회복지종사자 가운데서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처우는 가장 열악하다.
권익위 및 지역아동센터협의회 인천지부에 따르면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최저 임금 수준에도 못 미치는 월평균 89만 원의 급여로 생활하고 있다.
29인 이하 시설의 경우 월평균 210만 원의 운영비가 지원되는데 이 중 25%는 프로그램 진행비로 사용하고 나머지 돈으로 종사자 인건비와 난방비·공과금 등으로 쪼개 쓰고 있다.
이러다 보니 사회복지사(교사) 1명이 겨우 90만 원도 못 되는 월급을 받고, 시설장은 운이 좋으면 40만 원 안팎을 받지만 한 푼도 못 받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회복지사가 2명 근무하는 29인 이상의 지역아동센터는 사정이 더욱 어려워 2명이 60만~80만 원가량 나눠 받는 등 최저 임금에도 못 미치고 있다.
황미숙 지역아동센터협의회 인천지부장은 “지난해 정부의 아동센터 평가 거부로 올해 운영비가 50% 삭감되면서 사회복지사 1명의 인건비도 주기 빠듯하다”며 “이러다 보니 이직률도 높고 젊은 사람들은 1년 이상을 버티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