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개통되는 신분당선 2단계 구간(정자역~광교역)의 미금역 설치를 두고 성남시와 수원시간 첨예한 대립상을 보였던 문제가 일단락됐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28일 ‘신분당선 미금정차역 추가설치확정’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24일 국토해양부와 경기도, 수원시, 성남시, 경기철도㈜,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이 회의를 거쳐 미금정차역 설치를 최종 확정, 이를 27일 시에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시는 그동안 미금정차역 설치의 당위성과 설치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국토부, 수원시 등 관련기관을 설득하는 등 미금정차역 설치를 강력 건의했다.
시민들은 당초 미금환승역 설치를 주장했으나, 국토부 등 관계기관 협의에서 정차역으로 확정됐다.
이 시장은 “국토부 등 관계기간 합의에 따라 앞으로 미금정차역 건설비 및 운영비는 국책연구기관의 용역결과에 따라 분담하고, 점용허가 등 각종 인허가는 사업의 적기 추진을 위해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이와 함께 “시민들의 요구대로 환승역이 아닌 정차역 설치가 확정됐지만 기능보완을 통해 환승역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 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미금역 설치 확정에 따라 총 900억원에 달하는 건설비 및 운영비 분담비율은 한국개발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에 용역을 맡겨 결과에 따라 분담할 예정이다.
구일완 미금정차역유치추진위원회위원장은 “미금역은 상주인구 20만, 유동인구 10만명 등 하루 30만명이 움직이는 곳으로 56개 노선버스가 4천473회 통행하는 교통요지”라며 “정차역이 없어 이들 노선이 정자역으로 연결되면 교통대란 우려가 있었는데 미금정차역 설치가 확정돼 다행”이라며 환영했다.
수원시민등으로 구성된 미금역반대위원회는 그동안 “미금역 설치는 고속철 개념의 신분당선 연장 목적에 어긋나고, 광교분담금이 투여된 신분당선 연장선에 무임승차하는 것”이라며 반대했다.
한편 성남시는 지난 5월 미금역 설치를 주장하며 신분당선 환기구 설치를 위한 공원점용 허가를 취소 등 공공지장물 이설 협의를 중단하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