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지원금으론 인건비·관리비 등 감당 못해 학년별 지도학습 등 저소득층 방과후교실 엄두도 못내
인천지역 대다수 아동센터가 예산 부족으로 제대로 된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어 지원조례 제정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6일 인천지역 아동센터들에 따르면 대다수의 아동센터가 예산 부족으로 학년별 학습지도 등 저소득층 방과 후 교실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급식과 활동공간 제공 등 최소한의 역할에 그치는 등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교육기관으로서의 설립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현재 21명의 아동을 돌보는 인천 A 아동센터의 경우 정부, 지자체로부터 매달 평균 210만원을 지원받고 있다.
하지만 이 지원금으로는 사회복지사 인건비, 직원 4대 보험료, 차량 기사 인건비, 프로그램 운영비, 차량과 시설 관리비 등 경비 등을 도저히 충당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시설장 인건비를 포함해 센터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데 최소 400만~450만원이 소요됨에 따라 나머지 모자라는 금액은 대표가 사비로 충당하고 있다.
센터 관계자는“ 18세 이하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다문화가정 등의 아동을 대상으로 무료로 운영되기 때문에 지원금 외에 운영비를 조달할 방법이 없다”며 “결국 매달 200만원 이상의 적자를 보고 있는 셈이다”고 말했다.
인천지역 다른 지역아동센터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비용이 드는 학년별 학습지도와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 관계자는 “29명인 지역아동센터에 배정되는 월 프로그램 운영비는 70만원으로 1인당 2만8천원에 불과하다”며 “이 금액으로는 일회성, 단기 프로그램 운영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인천지역아동센터 대표자협의회 김성욱 대표는 “지자체의 지역아동센터 지원체계는 허술하기 짝이 없다”며 “지원조례를 제정해야 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