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내년 1월 1일 부터…자동차·전자 등 ‘잔칫집’, 농업분야는 ‘초상집’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이르면 내년 1월1일 발효됨에 따라 경기도내 업종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한·미FTA 이행법안이 양국이 협정에 공식서명한 지 4년3개월여만인 12일(현지시간) 미국 상·하원에서 모두 통과됐다.
이에 따라 한·미 FTA는 한국에서 비준 및 관련법 제·개정이 이뤄지고 나면 발효될 수 있게 됐으며 양국은 내년 1월1일부터 한·미FTA가 발효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과의 FTA 체결이 자동차와 섬유, 전기·전자 등 우리나라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우리 국회에서도 비준 동의안을 조속히 처리하길 바란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도 “장기적으로 실질 GDP가 5% 이상 증가하고 취업자는 35만명 늘어나며 무역수지 흑자가 연평균 27억달러 이상 확대되는 등 우리 경제에 상승효과가 기대된다”며 “중소기업에게는 직·간접 수출이 늘어 경쟁력을 강화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경제단체들의 환영 분위기 속에서 업종별로는 이해득실을 따져보며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특히 자동차 부품의 경우 FTA 발효시점부터 관세가 즉시 철폐돼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산의 한 자동차브레이크 제조업체 관계자는 “FTA를 기회로 수출물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영업을 펼치기 위해 구체적인 전략을 세우는 중”이라고 말했다. 전자부문은 대부분 북미지역에 현지 공장을 가지고 있어 관세인하 혜택은 제한적이지만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이미지 개선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농업분야에서는 타격이 예상됨에 따라 국회 비준과정에서 진통이 예고된다.
농민단체는 쌀을 비롯한 수입 농산물 관세가 철폐되면 우리 농산물이 가격경쟁에서 밀리고 결국 농업경쟁 전반에 피해를 줄 것이라며 적극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경기도연맹 관계자는 “한·미FTA는 농가피해 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의 식량주권 전체가 무너지는 것”이라며 “비준 거부 투쟁을 진행할 계획이며 차선책으로는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련 예산을 편성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