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학교, 식품위생기준 위반 ‘전국 최다’ 불명예
경기도내 학교급식이 타 지역에 비해 식중독 위험이 높아 식품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김우남 의원(민· 제주을)이 식약청으로 부터 제출받은 ‘2007~2010년 학교 집단급식소 및 집단급식소판매업소(식재료 공급) 전국 합동점검 결과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최근 4년 동안 도내 학교급식소 식품위생기준 위반 건수는 모두 57회로 전국 16개 지자체 가운데 가장 많았다.
연도별로 보면 지난 2007년 학교급식소 합동 점검결과 34회 적발돼 전국에서 위반 건수가 가장 많았으며, 2008년에는 위반 건수가 3회로 크게 줄기도 했다.
하지만 2009년 위반 건수가 10회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지난해에도 식품위생기준을 10회 위반해 울산(14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위반 유형은 대부분 유통기한이 경과한 제품과 식자재를 보관해 오다 적발된 것으로 식품위생관리의 심각한 허점이 드러났다.
특히, 경기지사가 인증하는 G마크 인증업체도 학교급식 식품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5월 오염된 지하수를 사용해 김치를 담근 업체로 부터 김치를 납품받은 도내 5개 학교에서 400여명이 집단 식중독을 일으켰으며, 지난 6월 수원의 A중학교에서는 저녁급식으로 나온 열무김치에 개구리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도는 “앞으로 G마크를 획득한 업체에서 부적합한 농산물이 나오면 인증을 취소하겠다”고 발표했다.
김 의원은 “사후약방문식의 G마크 인증체계로는 학생들의 건강권을 지켜줄 수 없다”면서 “학교급식으로 부터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지켜내기 위한 특단의 위생관리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승재기자 ysj@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