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고속 오는 10일부터 전면 파업, 운행차질 불가피

 

 

파행을 거듭하던 삼화고속 노사간의 임금교섭(본보 3일자 6면)이 결국 결렬돼 오는 10일부터 노조가 전면 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민주버스노조 삼화고속지회는 7일 인천시 부평구 부평동 삼화고속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는 10일 새벽 5시부터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인천~서울을 오가는 27개 노선 광역버스 325대 가운데 20개 노선 239대 운행이 중단되거나 배차간격이 늘어나게 되며 고속버스 운행도 일부 중단된다.

 

이번 파업에는 삼화고속 버스노동자 600여명 가운데 민주노총 조합원 484명이 동참한다.

 

회사측은 한국노총 조합원 114명 등을 투입해 대체운영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대다수 인력이 파업에 동참하는 만큼 운행차질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난 4월부터 교섭 파행과 부분파업을 거듭하며 갈등을 빚던 삼화고속 노사는 지난 8월12일부터 정상운행에 합의하고 교섭을 다시 시작했으나 노사간의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현 시급 4천727원을 5천700원 수준으로 올리는 것을 요구했으나 회사측이 1일 20~21시간 근로시간을 18시간으로 줄이고 시급을 2.5% 인상하는 대신 CCTV수당, 근속수당 등 일부 수당을 폐지하는 임금안을 제시하자 노조가 실직적인 임금삭감안이라며 결렬을 선언, 파업사태를 맞게 됐다.

 

삼화고속에서 5년동안 광역버스 운전을 해온 김모씨(41)는 “지난달 통장에 찍힌 월급이 136만원이 채 안된다”며 “애들 학비에 생활비까지 하려면 턱없이 모자라니 빚만 늘어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또 삼화고속 노조는 기자회견에서 “회사측이 제시한 협상안을 보면 도저히 노조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이라며 “노조의 파업을 유도하고 인천시로부터 버스요금 인상 및 지원금 인상을 얻어내려는 속셈이 엿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삼화고속 관계자는 “시급이 인상되면 급여 총액이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임금삭감은 아니다”라며 “시민들의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파업에 동참하지 않는 인력을 최대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인천시에 광역버스 요금 인상 및 준공영제 시행을 줄기차게 건의하고 있지만 파업을 유도한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지난해는 적게나마 흑자를 내긴 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이 크게 떨어져 적자가 심한 탓에 임금인상을 해줄 여력이 없을 뿐”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