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脫 인천’ 물류환경 개선 시급

매출액 대비 물류비 9.48% ‘큰 부담’… “공동물류센터 확충을”

인천지역 내 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제조업체들의 물류구조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역 내 남동·부평·주안 국가산업단지에는 6천873개 업체(10만353명 근무)가 입주, 지역 내 전체 수출액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입주업체 가운데 기계산업 업체가 3천159개(45.9%), 전기·전자 업체가 1천265개(18.4%), 석유화학 업체가 737개(10.7%)로 전체의 75%에 달한다.

 

그러나 시가 이들 기계·전기전자·화학 등 주요 업종을 대상으로 물류구조를 조사·분석한 결과 매출액 500억원 미만 중소기업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는 9.48%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업체가 영세하다 보니 물류관리에 대한 관심이 낮아 운송 및 보관 기능의 물류비 지출이 매우 높았다.

 

기계업체들은 제품이 다양해 재고관리 및 보관시설이 부족한 업체가 많았고 소량주문제작이나 수출을 위해 부산항을 이용할 때 내륙 운송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기·전자 업체들은 특수제품 보관시설이 턱없이 부족하고, 시기에 민감하다 보니 제품을 매일 출고해야 하는데도 자체 물류부서를 운영하기 보다는 아예 아웃소싱 형태로 물류기능을 처리하면서 운송비용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업체들은 대부분 회사 내 주차공간 등에 제품을 보관하고 있는 등 전반적으로 보관시설이 부족했다. 여러 업체가 창고 및 제조시설 확장을 원하고 있으나 마땅한 부지가 없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지역 내 중소기업이 물류비를 절감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주안·부평 공동물류센터 건립을 비롯해 남동 공동물류센터 확장 등을 통한 물류공동화 등 제조업체의 물류구조 개선이 시급하다.

 

시 관계자는 “인천은 지역 내 총생산(GRDP) 중 제조업 비장이 28%로 높지만 최근 탈 인천 현상이 빚어지면서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그 원인으로 물류구조 등이 꼽히고 있다”며 “인천발전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물류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