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야뇨증은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낫는 것으로 생각해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요즘은 조기교육과 현장 활동의 강화에 따라 또래끼리 합숙하는 경우가 많아져 오줌싸개는 스스로 위축되고 친구들의 놀림감이 된다.
따라서 야뇨증은 어린이들이 교우관계를 형성하고 자아를 발달시키는 시기에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야뇨증은 소변을 가릴 나이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밤에 자다가 이불에 오줌을 싸는 증상을 말하는데, 대체로 5세 이후에 보통 1주에 2번 이상 오줌을 싸면 야뇨증이라고 진단할 수 있다.
야뇨증은 흔한 질환으로 5세 어린이의 15%에서 보이며 한 살씩 나이가 들수록 점차 적어지고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 상대적으로 많다.
야뇨증은 1차성과 2차성으로 구분한다.
1차성 야뇨증은 태어난 후부터 한 번도 밤에 자면서 소변을 가린 적이 없는 경우이고 2차성 야뇨증은 최소한 6개월 이상 소변을 가리다가 다시 야뇨증을 보이는 경우인데, 야뇨증의 대부분은 1차성이다.
야뇨증은 원인에 따라 3가지로 나눈다.
첫째, 생리적 야뇨증은 나이에 비해 방광의 크기가 작거나 방광이 찼다는 걸 뇌에 알려주는 신호전달체계가 미숙한 경우로 1차성 야뇨증의 주요 원인이다.
둘째, 정신적 야뇨증은 처음에는 소변을 잘 가리다가 정신적인 충격으로 인해 다시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이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감이 정서적 퇴행으로 나타나 야뇨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2차성 야뇨증의 가장 큰 원인이다.
셋째, 기질적 야뇨증은 당뇨병, 요로감염 등 질병에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로 2차성 야뇨증의 원인이 된다.
야뇨증의 치료는 원인을 찾아 적절한 약물을 쓰는 것이 중요하며 아울러 심리적 치료도 동시에 시행돼야 한다.
야뇨증을 장기간 앓은 어린이는 자존감이 낮으므로 그에 대한 회복이 필요하다.
자존감이 낮은 어린이는 모든 일에 자신감이 없고 우울하며 교우관계에도 소극적이며 학습활동도 활발하지 못하다.
따라서 부모는 어린이가 오줌을 쌌을 때 야단을 치거나 창피를 주지 않도록 해야 하고 어린이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며 달력에 오줌을 싸지 않은 날에는 스티커를 붙여주는 등의 방법으로 어린이를 격려하고 칭찬해주는 것이 좋다.
심리적 갈등이 주원인인 경우에는 약물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며 어린이 자신을 위한 정신요법과 놀이요법이 요구되며 부모 상담이 필요하다. 특히 부부관계의 문제가 어린이의 심리적 갈등의 요인일 경우 부부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야뇨증의 원인에 따른 한의학적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생리적 야뇨증은 방광의 성숙을 촉진시키고 방광의 조절기능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고신축뇨(固腎縮尿)법의 육미지황탕 계통을 쓰고 정신적 야뇨증은 정신적 스트레스로 울체된 기운을 풀어주고 과도한 긴장을 완화함으로써 수면 중에 방광의 자연스런 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행기해울(行氣解鬱)법의 육울탕 계통을 쓰며 기질적 야뇨증 중 요로감염의 경우는 감염으로 인한 염증을 해소하는 청열이습(淸熱利濕)법의 용담사간탕 계통을 쓴다.
야뇨증은 아이가 잘못해서가 아니라 몸의 기능이 다른 아이보다 조금 늦게 발달되고 심리적으로 불안해 나타나는 것이므로 부모는 인내심를 갖고 치료에 임해야 하며 어린이이 스스로 야뇨증을 이겨낼 수 있도록 응원하고 지지해 주어야 한다. 문의 (031)775-1225
/김학대 양평군한의사회장·고려한의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