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택시 너무 많아” 조폭택시까지 등장

지역내 총량보다 4천여대 초과 운영
예산부족ㆍ업계반발 부딪쳐 대처 못해

인천지역 택시가 포화상태에 이르러 각종 부작용들이 나타나고 있지만, 감차는 예산 부족과 업계 반발 등에 부딪쳐 여전히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다.

 

13일 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에 공급된 택시는 1만4천269대(개인 8천884대, 법인 5천385대)로 지난 2009년 국토해양부가 조사한 지역 내 총량 1만18대보다 무려 4천251대가 초과 운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은 적은데 택시는 넘쳐 기사들의 수입은 갈수록 줄고 있다.

 

이 때문에 승객을 독점하려는 ‘조폭형 택시기사’까지 생기고, 주요 도시철도역과 시외버스터미널 등지에선 택시가 수백m씩 줄을 서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 2009년 인천발전연구원에 택시 공급계획 용역을 맡겼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택시 감차여부를 결정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신규 면허 발급이 정지된 뒤 교통법규 위반으로 면허가 취소되거나 휴지상태인 택시의 자연 감차를 제외하고, 시가 물리적으로 줄인 택시는 한대도 없다.

 

대당 개인택시면허를 사들이는데는 6천500만원, 법인택시 감차 보상에는 2천500만원 등이 필요하다.

 

개인과 법인택시를 1천대 줄이려면 473억2천만원 소요된다.

 

하지만 정부로부터 구체적인 감차기준조차 내려오지 않는데다, 정부 지원금도 한푼도 없어 시가 감차에 손도 대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면허를 사들여도 “개인 또는 사기업 재산권을 강제적으로 제한한다”는 반대 여론도 만만찮다.

 

시가 개인택시면허를 사면 기사들간 거래되는 면허 인수가격이 훨씬 더 비싸질 거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오는 2014년까지 각종 개발사업들로 인한 지속적인 인구 유입 등이 예상되고 있어 자연 감차분만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매년 단기적으로 공급계획을 마련, 택시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