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반발로 논의 중단… 범추위 “이전 최우선, 활용 대책 추후에” <성남시>
성남지역 군용항공기지인 서울공항을 민간공항으로도 활용하자는 논의가 주민들의 반발로 사실상 중단됐다.
서울공항 이전 및 활용을 위한 범시민추진위원회(범추위)는 지난 2일 “서울공항 이전을 비롯한 활용문제에 대한 시민의 뜻을 모으려고 단체를 조직했으나 취지와 다르게 민간공항 유치 활동을 벌이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며 “범추위는 서울비행장 이전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범추위는 지난 7월3일 성남지역 정치인과 주민을 중심으로 ‘서울공항 명칭 변경과 민군 공동 활용을 위한 범시민추진위원회’를 발족했다.
그러나 최근 단체이름에서 ‘명칭 변경과 민군 공동 활용’을 ‘이전 및 활용’으로 변경했다.
이는 범추위 발족을 계기로 서울공항 주변 신촌·고등동과 판교신도시 주민들이 민항기 이착륙에 따른 소음 피해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이상호 범추위 집행위원장은 “최우선으로 서울공항 이전문제에 집중할 것이며 이전의 정부정책이 바뀌지 않는다면 활용대책은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한 후 공감대 속에서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서울공항은 이전을 포함해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성남시 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곳”이라며 “어느 한 쪽의 시민도 손해를 보지 않고, 시민 누구나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개방된 단체가 된다는 세가지 원칙 속에 활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시는 시 홈페이지 ‘성남시에 바란다’ 답변을 통해 “군 전력상 이전이 어려운 현실을 고려해 민간 화물항공 활용 등을 검토했고,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민간활용에 대해 고민했으나 어떤 것이 시민과 지역에 유리한 것인지 숙고하고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편, 군용항공기지인 서울공항은 지난 2003년 한국항공대가 시에 제출한 용역보고서에서 민군 공용 공항 활용에 대해 경제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경기개발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연구보고서에서 적정 소음 이하의 저가 민간공항을 개방하면 수요가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그러나 성남시민사회포럼이 지난 7월30일 성남시민 1천16명을 대상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는 민간항공기 이·착륙에 대해 응답자 56.8%가 반대, 30.1% 찬성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