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도내 대상업체들이 온실가스와 에너지 저감 대책을 마련치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25일 지식경제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시행을 추진하면서 오는 9월까지 업체별 감축목표를 설정한 뒤 대상업체들의 이행계획서를 접수받아 내년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는 온실가스 다배출, 에너지 다소비 업체에 대해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 감축 목표를 부과해 미충족 업체에는 패널티를 부과하는 제도다.
그러나 상당수 대상업체들이 본격적인 제도 시행을 불과 4개월 앞 둔 지금까지 온실가스 저감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비용 문제로 대책 마련을 포기한 업체까지 나오고 있다.
도내 A제지업체의 경우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시행을 앞두고 그동안 수차례 대책회의를 가졌지만, 마땅한 저감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B철강업체도 제품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려 생산공정에 변화를 주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어 제품 생산량을 줄이지 않는 한 온실가스 저감 목표치 달성이 힘들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도내 한 제지업체 관계자는 “법을 만드는 사람들이야 책상에서 수치만 적어서 시키면 되지만, 이를 적용받는 현장 사정은 다르다”며 “냉매만 회수하면 되는 자동차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은 생산량을 줄이지 않는 한 목표달성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