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폐교 활용이 난항(본보 12일자 7면)을 겪고 있는 가운데 폐교 및 설립포기 부지를 놓고 교육청과 지자체간 갈등으로 비화될 전망이다.
23일 도교육청과 일선 지자체 등에 따르면 학교설립 포기 부지 및 폐교 활용을 놓고 교육청은 청사이전 및 대안학교 설립 등을 추진하는 반면, 일선 지자체들은 단체장 공약사업 이행 등을 위해 도시계획시설 변경을 거부, 갈등을 빚고 있다.
우선 수원교육지원청은 학교설립이 포기된 권선구 권선동 1234의 1 옛 권선2중 부지(1만1천516㎡)에 청사 이전 신축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15일께 수원시에 해당 부지를 학교시설에서 공공청사부지로 도시계획시설 변경을 해줄 것을 요구하는 공문을 접수했다.
권선2중 부지는 지난 2004년 학교설립 부지로 수원교육지원청이 매입했으나 저출산 등에 따른 수요 감소로 2007년 학교설립이 취소, 현재 나대지 상태로 있다.
그러나 수원시는 도시계획시설 변경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는 시장의 최대 공약 중 하나인 마을만들기 사업을 위해 해당 부지를 활용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원시가 결국 도시계획시설 변경을 반려할 경우 교육청과의 갈등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이천시 모가면 진가초등학교 마옥분교에 위스쿨(대안학교) 건립을 추진, 지역주민 및 이천시 등과 갈등을 빚고 있다.
도교육청은 경기도, 교과부 등과 각각 30억원씩의 예산을 들여 내년 9월 개교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천시는 해당 부지를 농업테마파크와 연계한 농촌문화체험학교 등으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여기에 지역주민들도 위스쿨 설립 저지를 위한 집회를 여는 등 강력 반발, 도교육청은 현재 도시계획시설 변경 신청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위스쿨과 청사이전 등은 도시계획시설 변경이 선행돼야 한다. 지자체장에게 변경 허가권이 있지만 교육청 입장도 생각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