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환자 60%가 경기·인천

올해 404명 발생… 北 접경지역 피해 커

올 들어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가 400명이 넘으며, 이중 60%가 경기·인천 지역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나라당 이윤성 의원(인천 남동갑)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말라리아 환자 발생 현황’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404명이 학질로 알려진 말라리아에 걸렸다.

 

경기도가 178명으로 44.1%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인천과 서울이 각 63명으로, 경·인 지역을 합하면 241명으로 59.7%에 달했다.

 

또한 강원도 14명으로 약 78.7%(318명)가 북한과 가까운 접경지역 혹은 수도권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 여름 장마와 태풍 피해로 북한 지역에서 시작된 말라리아로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동안 남한에서 퇴치된 것으로 발표됐던 말라리아가 다시 번지고 있는 것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북한에서 말라리아가 유행하고 있기 때문이며, 지난해 발생한 국내 말라리아 환자 1천345명의 24%가 군인이며, 나머지 환자 대부분도 접경지역 여행자나 근로자란 게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이다.

 

특히 우리 정부는 2001년부터 WHO(세계보건기구)를 경유, 남북협력기금을 활용, 대북 말라리아 지원 사업을 벌여 왔으나 지난해 천안함 피격 및 연평도 포격 사건후 이 사업이 전년 중단됐으며 말라리아 잠복 기간이 1년 정도인 것을 감안할 때 올해 말이나 내년부터 말라리아 재창궐이 우려되고 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