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의무화 규정 폐지… 도내 학생·학부모 요구 봇물
경기지역 학생 및 학부모들이 ‘중·고교생 수행평가’의 내신 반영비율이 지나치게 높아 학생들의 학습부담만 가중시키고 있다며 폐지 및 반영비율 축소를 요구하는 민원을 잇따라 제기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교육청이 최근 학생평가 총점의 30% 이상을 수행평가로 반영토록 한 의무화 규정을 폐지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학생 및 학부모들의 요구가 봇물을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3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는 학생의 학습능력을 평가함에 있어 지필고사(중간·기말고사)만으로 한계가 있다고 판단, 수행평가제를 도입했으며 일선 학교별로 수행평가 영역, 방법, 반영비율 등을 정해, 시행토록 했다.
이에 따라 도내 일선 학교에서는 교과협의회 논의를 거쳐 수행평가의 반영비율과 시행방법을 결정, 학업성정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도교육청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도내 중학교들은 국어(28%), 영어(30%), 수학(20%), 과학(38%), 사회(22%) 등의 비율로 수행평가를 반영하고 있으며 고등학교는 국어(26%), 영어(29%), 수학(23%), 과학(32%), 사회(24%) 등의 비율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관찰, 실험, 토론 등의 방식으로 교사가 학생의 지식·기능·태도 등을 평가하는 수행평가가 객관적인 평가가 불가능한데다 학생들의 학업부담만 가중시키는 ‘고행평가’라는 지적이 제기, 비율축소 및 폐지를 요구하는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
도교육청 홈페이지에 ‘김재준’이라는 네티즌은 “중고교 수행평가는 객관적이지 못한 평가 방식으로 하루빨리 개선 또는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