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시장 이어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몽골, 제3세계까지 진출
국내 중소기업들의 매력적인 투자처로 떠올랐던 중국시장에 이어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 몽골, 제3세계까지 새로운 기회를 찾아 떠나는 중소기업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준비되지 않은 해외진출은 기업의 생명은 물론 본인의 생명까지 위태롭게 한다. 문화적 차이와 기업 문화, 국민성, 임금과 치안 수준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너무나 많지만 영세한 중소기업들이 이 모든 것을 개인이 알아보고 준비하기엔 무리가 있다.
중기청이 발간한 ‘궁금한 수출지원 꼼꼼한 가이드’는 수출을 처음 시도하는 중소기업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제도를 질의응답 형식으로 쉽게 풀어놔 바이어 조사 대응과 수출계약서 작성 등 기초 무역실무는 물론 일반상식과 수출실무, 수출 마케 등에 대한 기본 지식을 얻을 수 있다.
현지 상황과 진출 분야에 대한 시장조사가 필요하다면 현지에 구축돼 있는 민간 네크워크를 활용하자.
인천에 위치한 ㈜아이스트로는 무려 5년간이나 일본 시장에 진출하려 했지만, 높은 진입장벽 때문에 진출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30년간 냉동고와 제빙기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해 온 이 업체는 일본 진입 장벽을 돌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운영중인 해외민간네트워크를 선택했다.
해외민간네트워크는 해외에 거점이 있거나 한국기업에 대한 수출 및 마케팅 경험이 풍부한 현지 민간기업으로 구성된 자문단으로, 현재 38개국 131개 네트워크가 운영중이다.
해외민간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중소기업이 늘면서 지난해까지 총 2천87개의 중소기업이 해외민간네트워크 활용사업을 통해 해외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으며, 현재까지 29억1400만달러의 수출실적과 264건의 현지법인 설립, 328건의 기술협력 계약체결 성과를 거뒀다.
㈜아이스트로 역시 일본시장에 경험이 많은 해외민간네트워크를 연결받아 일본시장 동향을 충분히 파악한 뒤 일본에 진출해 지난해 11월 일본 현지회사와 총판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도 등이 운영하는 무역사절단과 해외전시회, 수출상담회, 지역특화 해외마케팅 등을 활용하면 굳이 비싼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충분한 시장조사와 현지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실패확률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