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민영화’ 반대여론 부글부글

국토부·홍준표 대표 “국민주 매각 추진”… 시의회·시민단체 반발

정부와 한나라당이 인천국제공항공사를 국민주 공모방식으로 민영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인천지역에서 민영화 반대여론이 다시 들끓고 있다.

 

1일 국토해양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분 매각방식 가운데 하나로 우선 지분 15%를 국민주와 우리사주 방식 등으로 매각하는 방안을 마련, 방식과 절차 등을 기획재정부와 조율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매각 지분 15% 가운데 국민주 비중을 어느 정도 규모로 할지, 일반 청약으로 할지 여부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분을 매각해 생긴 재원은 인천국제공항 3단계 사업에 투자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한나라당도 인천국제공항공사 국민주 매각 방안을 들고 나왔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분을 포항제철처럼 국민주 공모방식으로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려고 한다”며 “국민들의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고 국부 유출이나 특혜 매각 시비에서도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3년째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분 매각작업이 지지부진한데다 매각을 둘러싼 소문만 무성한 상태”라며 “국민주 매각은 국민에게 일정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만큼 반대여론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 대표는 단, 국민주 매각방침은 한나라당 당론이 아닌 개인 의견이라고 못박았다.

 

하지만 지역 반대여론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특히 지방의회는 정부가 인천국제공항공사 민영화를 강행할 경우 지방세 감면혜택을 철회하고 인천국제공항공사 민영화 반대 범시민 서명운동을 펼치는 등 실력행사에 나서겠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민주노동당 시당을 비롯한 지역 시민단체들도 민영화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민주노동당 시당은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분을 일부 매각, 민영화하더라도 여객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아니고, 물동량이 늘어나는 것도 아닌데 민영화를 선진화방안이라고 밀어 붙이는 정부와 여당을 이해하기 어렵다”며 “흑자 공항 지분을 판 돈으로 부족한 정부 세수를 메꾸겠다는 의미인데 그야말로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격”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최근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분 매각 상한선을 49%로 정하고, 외국인 지분을 30%로 제한하는 내용 등을 담은 항공법 개정(안)을 국회에 상정했으며 현재 국토해양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