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와 건립비 지원 입장차 검단개발도 덩달아 ‘휘청’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검단신도시 개발사업이 흔들리고 있다.
신도시 내 분양 활성화 등을 위한 앵커시설로 중앙대 유치를 추진해 왔으나 캠퍼스 건립비 2천억원 지원 등을 놓고 시·사업시행자와 중앙대간 입장차가 커 사실상 백지화될 공산이 커졌기 때문이다.
1일 시에 따르면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와 LH 등은 공동으로 오는 2016년까지 총 사업비 15조4천억원을 들여 서구 원당·당하·불로동 일대 1천800만㎡에 주택 9만2천가구를 건립하는 검단신도시 1·2지구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2월 중앙대와 검단신도시 2지구 내 66만㎡를 용지매입비 수준으로 공급하고 캠퍼스 건립비 2천억원을 지원키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지만, 현실적으로 2천억원 지원은 불가능하다고 판단, 지난 6월 지원 불가 입장을 중앙대 측에 통보했다.
그러나 중앙대는 최근 시에 공문을 보내 건립비 2천억원 지원 없이 캠퍼스 이전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대신 사업방식을 현재 택지개발방식에서 도시개발방식으로 바꾸고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자고 제안해 왔다.
시와 중앙대, 도개공, LH 등은 다음주 중앙대의 이같은 제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지만 시·도개공·LH 모두 내부적으로 ‘법적 근거도 없는 무리한 조건’이라고 판단하고 있어 중앙대 유치가 사실상 백지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시가 내부적으로 중앙대를 대신할 다른 대학 유치에 나섰고, 더욱이 실시계획 변경까지 염두해 두고 각종 기업 등 새로운 앵커시설 유치에 나서 이같은 가능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특히 중앙대 유치 문제로 시가 진행하고 있는 개발계획 변경절차도 늦어지는데다 도개공의 재정상황 악화까지 겹쳐 사업도 2년여 지연될 전망이다.
현재까지 1지구의 토지보상률은 89.7%로 총 보상비 3조369억원 중 2조7천240억원이 투입돼 매월 이자 110억원만 물고 있고, 앞으로 지장물 보상에 1조5천억원 이상이 더 필요하지만 공사채 발행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로선 해답이 없다”며 “연말까지 개발계획 변경을 마무리하고 사업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