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인권조례후 특성화 고교생 실습 외면

도내 특성화高 기능사 합격률 ‘추락’ 교사들 “국가 기술산업 위기”

“20여년의 교사생활 중 올해가 최악입니다. 국가 기술산업의 위기나 다름없습니다.”

 

경기지역 A특성화고(옛 공고)에 근무하고 있는 B교사의 하소연이다.

 

B교사는 요즘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국가 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있다는 보람과 긍지가 한순간에 깨져 회의감마저 들 정도다.

 

B교사를 이렇게 무기력하게 만든 것은 담임을 맡고 있는 반 아이들의 국가기술자격 의무검정(기능사) 합격률이 올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달 18일부터 7월1일까지 실시된 의무검정(특성화고생들에 한해 필기시험 면제)에서 B교사 반 24명의 응시생 중 무려 11명이 탈락했다.

 

B교사는 이같은 의무검정 합격률 저하의 가장 큰 원인으로 ‘학생인권조례 시행’을 꼽았다.

 

인권조례가 시행되면서 정규수업시간 이후에 아이들의 실습이 불가능해지면서 학생들의 기술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것.

 

B교사는 “올해 사비를 보태 실습재료를 대거 사 놓으면 뭐하냐”며 “인권조례 시행 후 아이들이 시험대비 실습을 하려 들지 않는다. 국가 기술산업 근간이 흔들릴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경기지역 또다른 C특성화고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올해 아이들의 의무검정 합격률이 학교설립 이래 최저를 기록, 학교 전체가 비상사태나 다름없다.

 

이처럼 학생인권조례가 시행되면서 특성화고교생들의 자격증 합격률까지 감소,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6일 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올해 경기지역 특성화고교생들의 의무검정 합격률은 경기지사 84%, 경기북부지사 76.8%, 성남지사 80.6% 등 평균 80.47%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경기지사 85.2%, 경기북부지사 78.6%, 성남지사 84.1% 등 평균 82.64%의 합격률에 비해 무려 2.17%p나 감소한 것이며 지난 2009년(83.64%) 보다는 3.17%p가 급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국가기술자격 합격률이 교육성과 평가의 지표가 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