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중앙대 유치 ‘백지화 카드’

市 “재원조달 방법·규모 축소 등 수용 불가”

하남시의회가 중앙대 글로벌 하남캠퍼스 건립 추진 재검토 또는 백지화를 주문(본보 19일자 1면)한 가운데 하남시가 건립에 따른 재원조달 방법과 규모 축소 등을 이유로 ‘전면 백지화’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웠다.

 

26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9일 중앙대측이 제출한 ‘하남캠퍼스 건립 방안’에 대해 ‘수용 불가능하다’는 내부 방침을 정하고 경기도와의 최종 협의를 통해 중앙대측에 시의 입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교범 시장은 빠른 시일내 김문수 경기지사를 만나 중앙대 하남캠퍼스 문제를 둘러 싼 일련의 진행과정을 설명한 뒤 경기도 의견을 듣고 시의 방침을 최종 전달키로 했다.

 

시의 ‘수용불가’ 내부 방침에는 캠퍼스 건립에 따른 재원조달 방법과 규모 축소가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앙대가 시에 제출한 하남캠퍼스 건립방안에는 재원조달의 경우, 시가 제시한 49만여㎡(캠프콜번+재단소유 일부토지) 중 35%를 특수목적회사(SPC)를 통해 공동주택단지로 개발한 뒤 여기서 발생되는 개발이익 전액을 캠퍼스 이전에 재투자해 줘야만 대학유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또 중앙대는 49만㎡중 캠프콜번을 축으로 30% 범위인 13만2천여㎡ 범위에서 캠퍼스 조성이라는 양해각서(MOU) 체결 당시보다 규모를 대폭 축소한 건립방안을 내놨다.

 

이같은 제반 문제 등으로 시는 캠퍼스로서의 기능 측면에서 회의적 반향을 불러일으켜 ‘캠퍼스 건립 백지화’라는 극단적인 카드를 꺼내 들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최근 시의회가 행정사무감사 강평을 통해 “중앙대의 이전 의지가 의심스러운데다 무리한 재정지원을 시에 요구, 시 재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전면 재검토 또는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문한 것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