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道농기원, 시설재배농가 위한 냉방시스템 등 개발

기후변화 두렵지 않다… ‘신기술’ 농가소득 효자

긴 장마에 이은 불볕더위까지 날이 갈수록 급격한 기후변화를 이겨낼 수 있는 ‘신농업기술’이 농민들에게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25일 농촌진흥청과 경기도농업기술원 등에 따르면 이상기후를 이겨낼 수 있는 농업 신기술과 노하우들이 속속 개발돼 농가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 중이다.

 

우선 농촌진흥청은 여름철 온실 내부의 고온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설재배 농가들을 위한 포그냉방기술을 개발, 시범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발된 ‘간헐식 포그분무 제어장치’는 미세한 물입자를 실내에 안개처럼 분무해 공기 중 열을 흡수하고 증발하도록 한 기술로, 온도 및 습도조절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어 시설 원예농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1㏊당 300만원 내외의 적은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기존 같은 원리의 냉방시스템이나 에어컨 시스템에 비해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농진청은 또 고온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은 젖소들의 산유량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들도 내놨다.

 

젖소는 장마 기간 평소에 비해 우유생산량이 8.4%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송풍기를 설치해 축사 온도를 0.9도 떨어트릴 경우 산유량이 다시 3.09㎏ 증가하고, 사료의 에너지와 단백질을 7% 증량하고 비타민 A, E 등을 추가공급하면 산유량을 2.9㎏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장마기간 일조부족을 해소한 ‘일등 공신’으로는 경기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해 보급한 보광등을 꼽을 수 있다.

 

지난 2007년 개발돼 용인 등 22개 하우스 농가에 설치된 보광등은 올해 습해로 인한 탄저병, 곰팡이병 등 각종 병해충으로부터 피해를 줄였을 뿐만 아니라 일조량 부족으로 인한 상품의 질 저하를 막아줬다.

 

덕분에 남사면에 위치한 멀라린고무나무 재배 하우스 등 보광등 설치 농가에서는 설치 이전보다 30% 가량 소득이 증가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었다.

 

도농기원 관계자는 “이번 장마기간에 분화, 장미 등 화훼쪽에서 보광등 사업이 효과를 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상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보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