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보건소, 보관 공간 부족 등 유지비 부담… 통합관리 기구 설립 필요
경기 침체 등의 이유로 폐업하는 병·의원들이 늘고 있으나 이들 의료기관으로부터 넘겨받은 진료기록부 등을 보관하는 일선 보건소들은 막대한 분량의 진료기록부 등을 보관할 공간이 마땅하지 않은데다 방사선자료 복구·유지비용도 부담으로 작용되고 있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20일 인천시 및 각 군·구에 따르면 최근 몇년새 경영난 등의 이유로 문을 닫는 병·의원들이 늘면서 이들 의료기관으로부터 넘겨 받는 진료기록부와 방사선필름 등을 보관·유지해야 하는 일선 보건소들 입장에선 공간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남구의 경우 지난 2009년 22곳, 지난해 24곳 등에서 올 상반기까지만 13곳이 폐업했으며 이 가운데 병원만 7곳에 이른다.
다른 구도 실정은 비슷해 부평구는 지난 2009년 25곳, 지난해 35곳, 올해 9곳 등이 문을 닫았고 계양구는 지난 2009년과 지난해 각각 18곳, 올해 6곳 등이 폐업했다.
서구는 지난 2009년 13곳에서 지난해 21곳으로 늘었고 올해들어 현재 6곳이 보건소에 폐업신고를 제출했다.
폐업한 일부 의원 가운데는 보관계획서를 제출한 뒤 진료자료 등을 자체 보관하는 경우도 있지만 의료법 상 폐업한 의료기관은 관할 보건소에 진료기록부 등을 이관해야 한다.
이 때문에 폐업한 병·의원들로부터 막대한 자료를 넘겨받은 보건소들은 이를 보관할 공간 확보문제와 전산자료 복구·유지비, 자료 운영요원 인건비 등을 충당해야 한다.
남구의 경우 지난해 12월 폐업한 S병원(145병상)으로부터 환자 15만명의 진료기록부(10t 화물트럭 1대분)와 환자 10만여명의 방사선자료에 대한 이관 요청을 받았으나 아직까지 마땅한 보관 공간을 찾지 못한 채 병원에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진료기록부를 옮기는데만 1천만원이 들고 노후화된 방사선필름을 복구·유지하는데 4천150만원, 자료 운영요원 인건비로 1천만원 등이 필요하다.
관련 법 상 방사선필름은 폐업한 후 5년, 진료기록부는 10년 보관이 원칙이다.
남구 관계자는 “병·의원이 많은 다른 구의 경우 더욱 심각한 실정으로 각 구별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보관장소와 비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폐업한 모든 의료기관들의 진료기록부를 통합 관리할 기구 설립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