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초·중·고교에 근무하는 일용직 직원 7천600여명이 임금 인상과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사서보조나 영양사 등의 경우 정규직과 업무 강도가 비슷하지만 임금수준에선 격차가 커 불만들이 높다.
19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지역 내 각급 학교 조리원, 사서보조, 장애학생 교육 보조원, 사무행정 보조, 교무 보조, 운동부 지도자, 과학보조 등 일용직 직원은 모두 7천600여명(공립 6천200명 사립 1천400명)에 이르고 있다.
각 학교가 임시직으로 채용해 고용한다는 의미에서 ‘학교회계직원’으로 불리는 이들은 연간 275일 근무를 기준으로 직종에 따라 1천269만1천원∼1천349만7천원을 받고 있다.
여기에 연간 2차례 효도휴가비(20만원)가 추가된다.
이들은 매년 소속된 학교 교장과 채용계약을 맺고 2년 연속 근무하면 상시 고용직으로 전환돼 55∼58세까지 근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정규직에 비해 임금이 너무 낮고 고용상태도 불안정하다”며 임금 인상과 함께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내년 3월부터 시행되는 주5일 수업으로 근무일수가 줄어져 임금이 낮아진다며 이에따른 대책 마련도 촉구하고 있다.
사서보조나 영양사 등의 경우 학교도서관사업이 활성화되고 무상급식 확대 등으로 업무량이 많아진데다 정규직과 비교해 업무강도도 비슷하지만 임금수준에선 정규직과 격차가 크다.
이와 관련, 시 교육청 관계자는 “상시고용직으로 바뀌는만큼 고용이 불안할 건 없다”며 “임금 인상문제는 전국적인 사안으로 교육과학부가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