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지역 고교 20% 학생부 고쳤다

도교육청, 7천여건 적발 증빙자료·확인서도 없이
수상내역·봉사활동 추가 20여개교 정밀감사 착수

경기지역 고등학교 5곳 중 1곳이 올해 학생들의 생활기록부를 수정한 것으로 경기도교육청 조사결과 드러났다.

 

학생 생활기록부가 대학입시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한번 작성되면 원칙적으로 수정이 금지돼 도교육청 등이 수정여부에 대해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1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2개월간 도내 410개 고교를 대상으로 생활기록부 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 20.8%에 해당하는 85개 학교에서 모두 7천여건의 생활기록부가 수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은 생활기록부 수정 건수가 대부분 학교에서 80~100여건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생활기록부가 수정된 85개 학교 가운데 수정 이유가 불확실하거나 수정 근거 자료가 부족한 20여개교에 대해서는 정밀 감사를 벌이고 있다.

 

도교육청은 70여곳의 학교에서는 학생 장래 희망란에 ‘교사’를 ‘고사’로 잘못 표기하거나 교사의 착오로 학생 장래 희망을 다르게 표기, 또는 봉사활동과 수상내역을 추가 기재한 경우 등의 사유로 생활기록부가 수정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감사가 진행 중인 20여곳은 수상 내역을 추가 기재했는데도 불구하고 증빙 자료가 없거나 봉사활동 시간을 기재하면서 확인서가 첨부되지 않는 등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교육청은 이들 20여곳의 감사대상 학교가 불법행위를 벌였다기 보다는 수정 이유에 대한 추가 확인 필요하기 때문에 감사를 벌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감사 결과 불법행위가 드러나면 강력히 조치한다는 구상이다.

 

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최근 일선 학교들이 학부모들로부터 자녀 생활기록부 수정 요구를 많이 받고 있으나 원칙적으로 수정이 금지돼 있다”면서 “앞으로 일선 학교의 생활기록부 작성과 관리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