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노동시간 등 입장차 여전
인천 삼화고속 노사가 재협상에 들어가기로 합의하면서 노조가 3일만에 파업을 철회하고 복귀했다.
그러나 아직 노사간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한 채 협상을 재개하는 것에만 합의한 상태여서 파업의 불씨는 남아 있다.
10일 인천시와 삼화고속 노조 등에 따르면 이날 시와 삼화고속 노사는 오는 14일 첫 교섭을 시작으로 매주 1~2회씩 임금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11일부터 현장에 복귀하기로 했다.
하지만 삼화고속 노사의 쟁점사안에 대한 입장차이가 워낙 커 원만하게 합의에 이르게 될 지는 미지수다.
노조는 현재 시급을 최저임금 수준에서 5천700원으로 인상하고 버스 준공영제 도입, 비정규직 철폐, 법정 노동시간 준수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과는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재협상에서 결렬되면 다시 파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삼화고속이 버스 준공영제에 포함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준공영제를 시행하면 시가 예산을 투입해 삼화고속 운송단가나 급여 등을 보전해줘야 하지만 예산이 부족한 시로선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
파업으로 인한 운행중단 예고 등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 8일 새벽 5시를 기점으로 노조가 파업에 들어갔을 때도 시와 사측이 지난 7일 밤 늦게 각 버스 정거장에 운행 중단 안내문을 붙여 시민들이 혼란을 겪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파업까지는 가지 않도록 하려고 협상을 하는 과정에서 운행중단 고지가 늦어진 점은 있지만 임시차량 30대를 투입해 주요 전철역으로 연결하는 등 시민들의 불편을 줄이고자 노력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