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역차별'에 향토기업 이탈 급증

분양가 저렴·세제지원 혜택 비수도권 지자체들 ‘러브콜’ 올해 벌써 50여곳 이전 추진

 

화성에서 산업용 필름을 생산하는 A업체는 천안의 풍세산업단지에 공장을 증설하기 위해 천안시와 MOU를 체결하고 공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비교적 저렴한 분양가에 각종 세제 지원혜택까지 볼 수 있어 물류비 증가를 감안해도 수도권 공장 증설보다 이익이 크기 때문이다.

 

이처럼 최근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기업을 이전하거나 공장을 신설하는 기업이 눈에 띄게 늘면서 도내 유망기업의 지방 유출이 심화되고 있다.

 

5일 기획재정부와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한 기업은 지난 2004년 18개에서 2007년 73개까지 늘어났다. 그 후 2008년 수도권 규제가 완화되면서 51개로 줄었다가 2009년에는 52개, 지난해에는 71개로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올들어서는 50개 이상 업체들이 이미 이전을 확정했거나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수도권 중소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거나 공장을 신설하면 광역시는 법인세(소득세)를 5년간 100%, 이후 2년간 50% 감면해주고, 기타 지역은 7년간 100%, 이후 3년간 50% 감면해주고 있다.

 

또 산업단지에 입주할 경우에는 토지매입비를 지원해주고, 각 지방 지자체에서도 다양한 보조금 혜택과 입주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경기도는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공장 총량 규제, 상수원 보호 등의 각종 규제로 공장 신설이 쉽지 않은데다 지방과 달리 혜택이 거의 없어 사실상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역차별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충남에 공장 신설을 추진하고 있는 시흥시 B업체의 경우 해당 지자체로부터 세금 감면 혜택과 지자체의 SOC시설 지원, 공장부지 저가 공급 등 다양한 혜택을 제안받고 이전을 심각히 고민중이다.

 

당장 각종 자금지원과 세제혜택으로 상당한 수익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쉽게 무시할 수 없는 제안이라는 게 업체 관계자의 설명이다.

 

부천에서 집적회로를 생산하는 C업체도 올초부터 충남의 한 지자체로부터 부지매입비 지원, 기업 홍보 및 판로 개척 지원 등을 제안받았다. 이 업체는 지방에 공장을 증설할 경우 동일 제품을 생산하면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현재 사업 확장을 통한 공장 증설을 추진 중이다.

 

이 밖에 안양과 안산, 부천 등 도내 각 지역의 유망 중소기업들도 비수도권 지자체들의 끊임없는 러브콜에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지방에 사업장을 증설한 도내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비수도권 지자체의 기업유치 담당들이 매력적인 조건을 많이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각종 규제가 완화되면서 도내 중소기업 경영 여건도 나아지고는 있지만, 이전에 국비까지 지원되는 지방의 조건과 비교하면 매력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호진기자 hj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