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6개 시·도 중 14위… 자체 감사기구 구성 ‘무용지물’
인천시의 공무원 청렴도가 매년 바닥권을 맴돌아 ‘비리 도시’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3일 국민권익위원회 등에 따르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인천시의 청렴도 순위는 지난 2007년 14위, 지난 2008년 10위, 지난 2009년 12위 등을 기록했다 지난해 다시 14위로 하락했다.
시는 수년 전부터 공무원들의 금품수수 등 각종 비리가 불거질 때마다 반부패 TF 구성과 투명사회 협약 체결 등의 해법들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부패·비리가 끊이질 않고 있다.
이에 시민·사회단체들은 시의 자정능력에 문제를 제기해 왔다.
그러나 시는 독립적 감사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개방형 직위로 공모한 감사관 자리에 공무원을 임명하는 등 그동안 다른 개방형 직위에 대한 ‘낙하산 인사’ 논란을 빚으면서도 외부 인사 다수를 영입한데다, 모든 공공기관 감사를 전담하는 자체 감사기구를 구성하고도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최근 시가 공무원 4천7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렴도 자기진단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전체 응답자의 2%인 130명이 금품·향응을 제공받거나 시 예산을 사적·목적 외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부패와의 연결고리를 끊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길상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 사무처장은 “시가 다른 개방형직위에는 민간 전문가 위촉을 명분으로 외부 인사들을 대거 앉히면서 개방형 감사관직에 공무원을 임명한 건 앞뒤가 맞지 않는 행정”이라며 “이제라도 실질적인 옴부즈맨 위촉 등 내·외부 감시가 동시에 이뤄지도록 제도를 보완하는 게 비리 척결의 단초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