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책가방 안 메고 학교 간다
교과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청와대 보고
오는 2015년부터는 전국 초·중·고교에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 학생들의 책가방이 사라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온라인을 통해 교과목 수업을 듣고 각종 평가도 온라인으로 진행되게 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국가정보화 전략위원회는 29일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체제 실현을 골자로 하는 ‘스마트 교육 추진전략’을 마련, 이날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밝혔다.
스마트 교육은 학교가 표준화된 지식을 평균 수준에 맞춰 대량 전달하던 기존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수준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자기주도적 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두 2조2천281억5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이중 절반 정도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증액분으로 충당한다.
이번 추진전략을 보면 우선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2015년까지 모든 학교에 무선인터넷망이 구축되고 무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환경이 조성된다.
이는 인터넷 서버에 교육용 콘텐츠를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자료를 내려받아 사용하는 기술 방식이다.
교육 자료가 사용자의 PC나 스마트폰, TV 등 개별 단말기가 아니라 대형 서버에 저장돼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2014년에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초·중·고교의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만들어진다.
이 교과서는 교과 내용과 참고서, 문제집, 사전, 공책, 멀티미디어 자료 등의 기능을 연계한 미래형 교과서로 PC, 스마트폰 등 모든 단말기에서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 교과서는 무거운 책가방을 대신하고 학습지와 참고서를 별도로 사는 부담을 덜어줘 공교육 만족도를 높이고 사교육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수업을 활성화하고 온라인을 통한 평가와 개인별 학업수준 진단도 이뤄진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수행평가 모델을 만들고 시범학교를 운영하며 2015년까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인터넷 기반 평가(IBT) 형태로 단계적으로 바꾼다.
여기에 새로운 수업 형태에 교사들을 적응시키기 위해 내년부터 매년 전체 교원의 25%를 대상으로 스마트교육 연수를 실시하고 모든 교사에게 교육용 스마트 기기를 보급키로 했다.
우선 내년 3월 세종시의 첫 마을 지역에 개교하는 나성초등학교(24학급)에 미래학교 방식을 완벽히 적용하며 인근 송원초교에는 이를 일부 도입한다.
아울러 저소득층 학생들의 소외를 막기 위해 스마트 기기 등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고 장애인 학생도 배려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로 했다. 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