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로로 업체 "북한에 금전적 혜택 없어, 제재 리스트 안된다"
남북합작으로 만들어진 뽀로로가 미국 대북제재 리스트에 올라 수출이 막힐 가능성이 있어 반발 목소리가 커지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정부가 북한산 완제품 뿐 아니라 북한산 부품, 기술로 만들어진 제품의 수입도 금지하는 새로운 대북제재 시행령을 발표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이 보도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은 미 재무부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4월18일 발표한 새로운 대북제재 행정명령을 구체화한 시행령을 지난 20일 관보에 게재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북한 인력이 참여해 만든 남북합작영화 등도 미국 수출을 위해서는 별도의 심사과정을 거쳐야 한다.
어린이들의 대통령으로 불리는 뽀로로의 경우 북한과 합작해 만들었기 때문에 미국의 수입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미국정부는 앞으로 정해진 자체 기준에 따라 뽀로로를 수입금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뽀로로에 대한 기획.마케팅.제작을 맡고 있는 남한의 아이코닉스는 미국정부가 뽀로로를 대북제재 리스트에 포함시킬 명분이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아이코닉스 김종세 상무는 "이미 2005년에 북한과 계약관계가 이미 종료됐고 북한에 금전적인 혜택도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대북제재 리스트에 올라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뽀로로는 2001년부터 지금까지 시리즈물로 156편이 만들어졌고 이 가운데 우리업체와 북한의 삼천리총회사간 합작으로 만들어진 것은 18편에 이른다.
남북합작 작품인 18편은 2001년부터 2005년에 제작됐고 당시 우리업체는 북한에 색칠 등 단순업무만을 하청을 줬다.
뽀로로가 대북제재 리스트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발끈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미국이 앞뒤 사정 보지 않고 뽀로로를 대북제재 리스트에 올릴 경우 큰 반발에 부딪힐 것"이라고 경고했다.
뽀로로 만화는 지금까지 해외누적수출액이 400만달러에 이르고 있으며 연간 캐릭터 수출로 100억원 이상의 수입을 올리고 있다.
올 연말에는 뽀로로 4탄이 출시될 예정이며 서울산업통상진흥원이 추산한 뽀로로의 브랜드 가치는 3천900억원에 이른다.
이런 가운데 개성공단 뿐 아니라 황금평 경제특구나 라선 경제특구에서 생산되는 제품도 수출통제대상이 된다.
정부 관계자는 그러나 "개성공단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대부분 내수로 충당되고 일부분만 EU나 호주로 수출되고 있어 국내 기업의 타격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자유아시아방송이 전한 미국의 새 시행령은 적성국교역법으로 시행되던 대북제재를 이달 13일로 완료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관보 게재일로부터 새 행정명령에 따른 대북 경제제재 조치를 적용한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