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재난전조(前兆)정보 수집해 재난 대처

소방방재청 연계 246개 지자체 정보 공유… 사전에 위험요인 차단

성남시는 예방중심의 재난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시민이 참여하는 ‘재난 전조(前兆) 정보 관리제도’를 도입한다고 16일 밝혔다.

 

‘재난 전조 정보 관리제도’는 재난 발생 전에 벽의 균열, 창틀 기울림, 삐그덕 소리 등 사고 위험을 미리 알 수 있는 징조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해 위험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제도다.

 

시는 민간 모니터요원 16명, 지역자율방재단 등 11개 단체 700명 회원 등과 함께 전조 정보를 수집하고, 각 구청과 동주민센터에 재난전조 정보 담당자를 지정·운영해 시민제보를 받는다.

 

또 현장조사·언론·민원·여론·점검자료 등 재난 전조와 관련한 정보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집하고, 소방방재청을 통해 전국 246개 시·군·구의 재난 전조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수집한 정보는 재난발생 가능성, 예상 피해 규모, 주민생활 안전도 등을 감안해 A(심각), B(경계), C(주의), D(관심), E(관망) 등 위험 등급에 따라 상태를 점검하고 안전조치를 취해 사전에 위험요인을 해소한다.

 

시는 최근 5개월 동안 시민들에게 22건의 재난 전조 정보를 제보받아 제보 현장을 안전 조치했다.

 

제보받은 전조 가운데 수정구 신흥3동 종합시장의 상가 옹벽은 상가 주민들이 위험성이 있다고 제보해와 지난 3월 안전 보강 조치한 바 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