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시내버스 임금협상 ‘험난한 길’

노조 “2년간 동결… 물가인상·경제성장률 반영” 인상해야

사측 “市가 준공영제 운송단가 반영 안해주면 불가” 맞서

인천지역 시내버스 업체들의 임금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노·사가 임금 인상에 합의하더라도 인천시가 인상된 인건비를 버스 준공영제 운송단가에 반영하지 않아 협상이 유명무실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14일 버스업계에 따르면 S사 등 버스업체 4곳이 올해 임금협상을 진행하다 결렬돼 현재 지방노동위원회를 통해 조정절차를 밟고 있다.

 

노동조합 측은 지난 2009년 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된 이후 2년 동안 임금이 동결됐다며 물가인상분과 경제성장률 등을 반영한 인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 측은 시가 인건비 인상분을 버스 운송원가에 반영해주지 않을 경우 인상은 불가하다며 맞서고 있다.

 

버스 준공영제에 따라 시와 버스업체가 운송수익금을 공동 관리하고 있는데다 시가 인건비 등 운송원가를 산출하고 있어 인상된 인건비를 운송원가에 반영하지 않을 경우 고스란히 버스업체 부담으로 남는다.

 

협상의 열쇠를 쥐고 있는 시는 임금협상은 노·사간 합의사항이라며 한발 물러서 있다.

 

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서울 등 다른 지역들이 임금협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거나 노·사간 합의사항을 버스 운송단가에 반영하고 있는 것과는 다르다.

 

더욱이 노·사간 임금 인상에 합의하더라도 시가 이를 반영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도 예산 부족을 이유로 노·사간 임금 인상 합의사항을 반영하지 않았다.

 

시는 올해 버스 준공영제 예산으로 255억원을 세웠지만 이미 바닥을 드러내고 있고 이달 중순 추경예산에 100억원 상당을 더 반영할 예정이지만 2~3개월을 버티는 게 고작일 정도다

 

결국 버스 준공영제가 시의 재정난에 발목을 잡히면서 버스 운전기사들은 임금 인상은 커녕 급여가 제대로 나올지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노동조합은 오는 22일 조정이 결렬되면 파업까지 검토하겠다며 강경 대응하고 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