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공기살균기 ‘거꾸로’ 지원

道교육청, 공기질 ‘적합’ 6개교에 수천만원씩 주고

미세먼지 등 기준초과 ‘부적합’ 16개교엔 한푼도 안줘

경기도교육청이 도내 초·중·고교에 공기살균기 설치예산을 지원하면서 공기질 부적합 판정을 받은 학교가 아닌 공기질이 양호한 학교에 집중 지원해 논란이 일고 있다.

 

12일 경기도의회 결산검사위원회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지난해 부천북여중 등 6개 학교에 총 2억335만6천원 상당의 공기살균기 설치비를 지원했다.

 

하지만 해당 학교들은 교실 공기질 측정결과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가 기준치 이하로 공기질이 양호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원 영신여고의 경우 2009년과 지난해 모두 공기질이 적합하다는 측정결과가 나왔지만 도교육청은 지난해 공기살균기 120대를 설치하며 1억5천48만1천원의 예산을 지원했다.

 

또 오산 원일초와 안산 부곡초 역시 2년 연속 공기질 적합 판정을 받았음에도 각각 6천868만6천원(61대), 6천237만9천원(40대)의 공기살균기 설치예산을 보조했다.

 

반면 의정부 부용고, 동두천외고, 양주시 덕정고, 고양 일산고 등 16개 학교는 미세먼지나 이산화탄소가 기준치를 초과해 부적합 판정을 받았음에도 공기살균기 설치 예산을 전혀 지원받지 못했다.

 

이에 대해 윤은숙 도의회 결산검사위 대표위원(민·성남4)은 “이는 역차별 보건행정의 면모를 드러낸 것”이라며 “도교육청이 반드시 개선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한편 결산검사위는 지난달 17~31일까지 실시한 결산검사를 통해 ▲BTL 사업 학교 조경식재 불량 ▲경기교육연수원 설립추진비 예산편성 및 집행 부적정 ▲유치원 종일제 운영 정산 부적정 등 13개 항의 의견서를 채택해 교육감에게 송부했다.  구예리기자 yell@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